* 2022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2023년 물가 상승에 대한 예측
* 물가 상승률이란 무엇인가
- 물가 상승률은 일정 기간 동안 물가가 얼마나 상승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보통은 연도별로 계산이 되고 전년도 대비 상승한 비율을 나타낸다. 물가 상승률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소비자들은 물가 인상에 대비해 지출을 줄이거나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기업의 경우 생산 비율 상승으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물가 상승률에 영향을 주는 주요 원인들
-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은 통화가치의 하락으로 인한 물가 상승률이다. 통화가치가 하락하면 동일한 수량의 통화로 더 적은 양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해야 하므로 물가 상승률이 발생한다.
- 수요와 공급의 변화 :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감소하면 물가 상승률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인구 증가로 인한 수요 증가나 생산량 감소로 인한 공급 감소는 물가 상승률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세금 : 세금의 증가는 제품 가격에 반영될 수 있는데 부가세 등의 세금이 상승하면 제품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 환율 : 수입품의 경우 환율 변동은 제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화 대비 외국 화폐 가치의 하락은 수입품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생산성 저하 :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면 생산비용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서비스업은 사람과 사람의 감정 노동에서 초래되는 것이므로 장시간의 근무나 불충분한 휴식의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이는 서비스를 받는 소비자들의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 2022년 한국의 소비자 생활 물가 상승률
- 식료품 :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식료품의 가격은 전년 2021년 대비 5.1%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6.2% 상승했는데 특히 오징어와 같은 어패류, 마늘, 토마토, 양파 같은 채소류는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축산물의 경우 4.2% 상승하였는데 돼지고기와 계란의 상승폭이 컸다. 사과, 배, 감귤과 같은 과일의 경우 2.8%가 상승했으며 생수 및 탄산음료 같은 음료들은 1.6% 상승하였다. 이는 대부분 작물에서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비료와 인건비 등 생산비용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2022년 상반기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폭염의 영향으로 쌀, 팥, 콩 등의 주요 농산물의 피해가 컸고 생산량이 줄어 들었다.
- 주택 : 주택의 경우 2021년 대비 2.3%가 상승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금융정책 완화와 저금리 환경, 주택공급 부족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 교통 : 전년대비 휘발유 가격이 5% 이상 상승한 2022년의 교통 물가는 전반적으로 상승폭이 컸다. 주유비가 교통 수단의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휘발유 가격이 오름으로써 교통비 또한 상승할 수 밖에 없던 것이다. 2022년 1월 기준 국내 휘발유 가격은 1리터랑 약 1900원에서 2000원 이상으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자동차 유지비와 대중교통 요금 또한 자연스레 오르게 되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대중교통 수요 감소와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버스, 지하철 등 대중 교통 요금이 평균 1.9%정도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고차 시장에서도 경매 가격이 상승하는 등 중고차 가격이 전년 대비 높아졌기 때문에 자동차 구매 비용도 증가하였다. 교통 물가 상승은 소비자들의 생활비에 직격탄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교통비 상승 뉴스는 민감하게 작용되고 있다.
- 전기 및 가스 : 에너지 원자재 가격의 상승됨으로써 전기 및 가스 회사들은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하게 된다. 전력 발전 및 가스 생산을 위해 석유를 사용하는데, 석유 가격이 상승하면 이를 공급받는 회사들은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한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탄소 배출 규제 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력 발전 및 가스 생산 회사들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기후 변화로 인해 자연 재해가 더욱 심화되면서 전기 가스 시설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져 복구 비용 또한 소비자에게로 전가 된다.
* 2023년 물가 상승에 대한 예측은?
- 금속 철강 등 원자재 가격 상승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 자연재해, 중국의 수출 제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였다. 금속, 철강 등은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며 이를 이용하는 제조업체 등에서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이를 소비자가 부담하게 된다.
- 중국의 수출 제한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수출국 중 하나이기 때문에 중국의 수출 제한이나 관세 인하 등의 정책 변화는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원자재나 부품을 대량으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 발생하는 수출 제한 등의 정책 변화는 다양한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준다.
- 국제 설탕 가격의 증가 : 해외에서 대부분 수입되는 설탕의 경우 식품업계 전반에 영향을 준다. 이는 세계적인 수요 증가와 함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원재료 가격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시적으로 날씨 등의 영향으로 설탕 생산량이 감소하는 등의 사유로 설탕 가격이 급등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추이를 지켜보아야 한다.
- 휘발유 가격 상승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휘발유 가격 상승은 전쟁 발발 당시부터 시작되었다. 2014년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가 러시아에 편입된 이후부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철도와 파이프라인을 통한 에너지 수입을 차단하면서 휘발유 가격이 상승하였다. 2015년부터는 유럽에 수입되는 로시안 석유도 일시적으로 차단했으며 이는 유럽의 휘발유 가격 또한 상승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휘발유 가격 상승은 한국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데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는 다시 상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 상승이 유발되고 있다.
'생활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비 절약의 시작 ! 알뜰교통카드를 아시나요? (0) | 2023.05.03 |
---|---|
간편 결제 서비스 페이의 종류 : 애플페이 / 쓱페이 / 네이버 페이 (0) | 2023.04.22 |
주식을 하려면 코스피 코스닥부터 알자 : 초보를 위한 주식용어 (0) | 2023.04.17 |
암호화폐의 정의와 특징 및 시장 전망 알기 (0) | 2023.04.12 |
한국의 로봇산업과 경제에 주는 영향력 그리고 미래 발전 가능성 (0)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