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제 재테크

생활 경제를 알려면 기본 상식부터 : 경상수지

by INFORM B 2023. 4. 7.
반응형

* 생활 경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상식

 

* 경상수지 

 : 경상수지란 한 나라의 수입, 수출의 차이를 의미한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을 경우에는 경상수지는 흑자가 되고 수입이 수출보다 많을 경우에는 적자가 된다.

 경상수지가 중요한 이유는 국가의 경제적 상황을 파악하는데 아주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그 크기에 대한 추이는 국가 경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경상수지가 흑자인 경우 국가 경제가 활성화 되어 수출이 활발해지고 상대적으로 국가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경상수지가 적자인 경우에는 국가 경제가 약하고 위축되어 수입이 많아졌기에 수출이 감소하는 것을 뜻한다.

경상수지는 국제무역에서 발생되는 여러 상호교류의 결과를 나타내므로, 국제무역 정책과 외환 정책같은 중요한 이슈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경상수지의 세분화

 1. 서비스 수지

 : 서비스 수지란 국제 서비스 거래에서 발생되는 한국의 수입, 수출간의 차이를 말한다. 여행, 문화, 교육, 운송, 통신, 금융 등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대게 서비스 수지는 흑자를 기록하는 양상을 보인다.

 

 2. 상품수지

 : 상품수지란 한국이 해외에서 수입한 상품, 수출한 상품 간의 차이를 말한다. 농축산물업, 제조업, 석유화학제품, 광물 등의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상품수지는 흑자 또는 적자를 기록할 수 있으며 한국은 상품수지에서 대개 흑자를 기록한다.

 

더불어 최근에는 디지털 경제의 발전으로 디지털 서비스 및 디지털 상품 등도 경상수지에서 아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디지털 서비스와 상품은 전통의 서비스 및 상품과는 달리 국경을 초월해 거래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경제의 성장으로 인해 경상수지는 더욱 중요한 지표가 되어지고 있다. 

 

3. 본원소득수지

 : 본원소득수지란 한 나라의 국민이 그 나라에서 벌어들인 총 소득과 해당 나라내에서의 총 지출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것은 국내에서 벌어들인 총 소득에서 국내의 총 지출을 뺀 값을 말한다.

이는 국가의 경제 활동에서 발생한 총 수입과 총 지출 간의 차이를 나태내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 성장과 안정성을 파악하는 아주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흑자의 경우 국내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걸 의미하고 적자의 경우 경제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원소득수지가 흑자일 때, 해당 나라의 국민이 총 소득보다 적은 총 지출을 한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더 많은 돈을 저축하거나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소득수지가 양수인 경우 국내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적자가 지속될 경우에는 해당 나라의 국민의 총 소득보다 훨씬 더 많은 지출을 한 것이므로, 적자 상태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에는 국내 경제가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 

 

4. 이전소득수지

 : 이전소득수지란 특정한 기간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총 소득과 지출 간의 차이를 말한다. 이는 경제 성장과 안정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꼽힌다. 이전소득수지는 경제 활동에서 발생한 총 소득에서 해당 기간 동안 총 지출을 마이너스 한 값으로 계산된다. 그러므로 이전소득수지가 흑자인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국내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국민들이 총 소득보다 적은 지출을 한 것으로 보면 된다. 반대로 적자가 되는 경우에는, 국내 경제가 위기 상태에 놓여 있으며 국민들이 총 소득보다 더 많은 지출을 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국제 경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전소득수지는 자세히 살펴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른 나라와의 무역에서 발생하는 수지와도 연계되기 때문이다. 국제수지의 총체적인 수준을 결정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전소득수지가 흑자인 경우, 국내 화폐가 더 많이 사용되며 국제 경제에서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적자인 경우에는 국내 화폐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이족, 국제 경제에서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 경상수지가 적자가 되는 경우

 : 국가의 경상수지가 적자인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외환 보유액이 감소했거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금이 줄어들어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이유

 : 수출품목의 가격 하락, 국제 유통 채널의 변화 및 수출입 규제 등이 강화 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있다.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출입의 총량을 증대하거나 수출 품목을 다변화 시키고 수출입 관세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있다.

 

- 경상수지 흑자를 위한 노력

 : 장기간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되면 국가의 경제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 정책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국내의 수출 기업들을 지원하여 외국인 투자자들을 유치하는 방법, 수출을 촉진하고 수입을 줄이기 위한 국내산 대체품 개발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 한국의 경상수지

 : 2021년 기준 약 8년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은 적자인 상태에서 노력끝에 흑자로 전환되었다.

 한국의 수출 산업을 중심으로 인해 경상수지의 흑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산업, 자동차 등에서 국가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활발해졌다.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해 수출규모의 일부가 감소하였으나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상수지 흑자가 유지되는 것은 경제적으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지속적인 수출과 함께 수입을 증가시키는 등의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국내 상품 제조 등을 통해 수입을 줄이려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 또한 수출 중심이 아닌 국내 소비 증진 같은 다양한 성장동력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 미래의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반응형
LIST

댓글